경제, 시사, 상식, IT/시사, 상식

[국내 시사] 한국 2차전지 산업, 캐즘을 넘어 중국과의 기술 격차를 극복할 수 있을까?

퇀의 스토리 채널 2025. 5. 20. 01:02

전기차와 2차전지 그리고 캐즘
이미지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 산업 현황: 캐즘인가, 기술력 부족인가?

최근 한국의 2차전지 산업은 전기차 수요의 일시적 정체, 즉 '캐즘(Chasm)'에 직면하며 침체를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침체가 단순한 수요 정체가 아니라, 중국 기업과의 기술 격차에서 비롯된 구조적인 문제라고 지적합니다. 중국의 CATL은 2024년 매출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은 15% 증가하는 등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의 주요 배터리 기업들은 적자를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중국의 급부상과 한국 배터리 산업의 위기

2025년 1분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의 점유율이 55.8%에 달하며, 한국의 주요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의 점유율은 18.7%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CATL과 BYD는 각각 38.3%와 16.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상황은 한국 배터리 산업이 기술력과 생산 효율성 측면에서 중국에 뒤처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기업들의 대응 전략

한국 기업들은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현지 생산 확대: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과 유럽에서의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삼성SDI와 SK온도 해외 생산 거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기술 개발 강화: 삼성SDI는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SK온은 차세대 배터리 기술인 전고체 배터리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정부와의 협력: 정부와 기업이 참여하는 '이차전지 비상대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여 산업 경쟁력 제고 전략과 원자재 수급 동향 등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 투자자들을 위한 조언

2차전지 산업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기술력 중심의 투자: 단순한 수요 회복에 기대기보다는, 기술력과 생산 효율성을 갖춘 기업에 주목해야 합니다.
  • 글로벌 전략 분석: 미국과 유럽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업들의 전략을 분석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평가해야 합니다.
  • 장기적 관점 유지: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흔들리기보다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과 기술 개발에 대한 기업의 비전을 중시해야 합니다.

 

📝 결론

한국의 2차전지 산업은 현재 중국의 급속한 기술 발전과 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러나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정부의 지원이 결합된다면,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투자자들 또한 신중한 분석과 장기적인 관점을 통해 이 산업의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야 할 때입니다.

 

원본 기사 출처

 

중국, 소금으로 만든 '소듐배터리' 출시 배터리 산업 지각변동 - 인천투데이

인천투데이=김갑봉 기자 | 중국이 리튬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배터리 기술을 내놓으며 세계 배터리 산업 질서를 흔들고 있다.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 CATL이

www.incheontoday.com

 

[기자수첩]전기차 캐즘? 바보야, 문제는 중국이야!

"캐즘(Chasm) 맞나요?" 최근 만난 배터리 회사 관계자는 전기차가 안 팔리는 이유를 단순히 캐즘 탓만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해했다. 캐즘은 혁신적 제품이 대중화되기 직전 겪는 일시적 ...

news.bizwatch.co.kr

 

中위협·캐즘에 치인 K-배터리…'이차전지 비상대책 TF' 가동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 빠진 배터리 산업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가 구성된 것으

news.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