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사, 상식, IT/국내 시사

🏺 비운의 왕릉, 100년 만에 주인 알았다 – 백제 삼근왕의 묘실 확인

2025. 6. 28. 00:47

공주 왕릉원 이름 없는 무덤 주인 100년 만에 백제 삼근왕으로 확인
출처: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1. 100년간 미스터리였던 왕릉, 드디어 밝혀지다

  • 충남 공주 무령왕릉 북쪽에 분포한 무덤 4기 중 제2호분의 주인이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이름 없는 왕릉’으로 남아 있었으나, 최근 국가유산청이 2년간 정밀 재조사를 통해 이 무덤의 주인을 밝혀냈습니다.
  • 법의학적 분석 결과, 10대 후반 남성의 치아로 확인되어 백제 23대 삼근왕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됐습니다.

 

2. 삼근왕은 누구인가?

  • 삼근왕(生卒연대 약 479–481)은 13세 나이에 즉위해 15세에 서거한 어린 왕입니다.
  • 이는 문주왕 사후 승하한 왕으로, 무령왕과는 사촌 관계이며, 왕실 지위·혈통이 매우 높은 인물로 분석됩니다.

 

 

3. 유물과 문화사적 의의

  • 무덤에서 태국 등에서 유입된 유리옥이 출토되어, 당시 백제가 동남아시아와의 활발한 교역망을 유지했음을 보여줍니다.
  • 인접 왕릉들 또한 왕족일 가능성이 커, 이 지역이 백제 왕실 5대 대를 잇는 왕릉 집단으로 기능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4. 발견의 주요 결과

항목 주요 내용
신원 확인 제2호분 → 10대 치아 분석 → 삼근왕 추정
즉위·서거 연도 13세 즉위, 15세 승하
혈통 관계 개로왕(21대) 직계 후손, 무령왕과 사촌
문화사적 의의 동남아 교역 증거 + 왕릉 집단 구조 확인

 

 

✅ 종합 요약

  • 100년 만에 백제 왕릉 분표 주인 확인
  • 법의학으로 어린 왕(삼근왕) 추정
  • 동남아 교역 유물과 왕실 집단 무덤 구조 분석 가능

 

🎯 시사점 & 후속 연구 방향

  1. 백제 왕릉 분포 및 구조의 체계적 분석
    – 왕실 분묘 배치·건축 양식 등 종합 연구 가능성
  2. 국제 교류사 조명 강화
    – 유리옥 외 교역 유물이 추가 발견될 경우 세계 백제 이해 폭 확장
  3. 문화콘텐츠화 연계
    – 공주 무령왕릉 일대 ‘왕릉 문화 거리’를 조성하면 역사·관광 콘텐츠 강화 효과 기대

 

 

📌 이미지로 보는 왕릉 위치 및 구조, 부장품

왕릉 위치 및 구조
출처: 조선일보

 

 

 

 

100년 만에 주인 밝혀진 ‘비운의 왕릉’

[앵커] 공주 무령왕릉 위쪽에 분포해 있는 이름 없는 왕릉의 주인이 발견 100년 만에 밝혀졌습니다. 국가유산청이 2년 간의 재조사를 통해 15살 요절한 비운의 왕으로 추정했습니다. 당시 백제의

v.daum.net

 

 

백제 왕의 비밀 밝혀졌다, 공주 왕릉원 2호 주인은 14세 삼근왕

백제 왕의 비밀 밝혀졌다, 공주 왕릉원 2호 주인은 14세 삼근왕

www.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