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메네이, 휴전 후 첫 공개 메시지 "이스라엘·미국에 승리했다"
- 6월 26일,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휴전 이후 처음으로 등장해 “이란이 미국도, 시온주의자(이스라엘)도 꺾었다”고 선언했습니다.
- 그는 “미국은 이스라엘이 파멸할까 봐 참전했다”고 주장하며, 이번 전쟁이 이란의 승리였고 미국 얼굴을 강타했다고 강조했습니다.
2. 레고 애니메이션으로 선전 전개
- 이란 국영매체(IRGC 계열)는 레고 스타일의 애니메이션을 공개하며 “우리가 게임의 지배자”라는 메시지를 선전했습니다.
- 영상에는 트럼프, 네타냐후가 악마의 지시에 따라 공격하나 이란의 미사일 보복으로 굴복하는 모습이 묘사됐습니다.
3. 정부·국회 움직임: 내부 결속 강화
- 전쟁 직후 이란 의회는 이스라엘 공조자 대상 반역죄·간첩죄 형량 강화 법안을 통과시키는 등 내부 통제를 강화 중입니다.
- 하메네이는 향후 미국군 미사일기지에 대한 추가 보복을 시사하면서 IAEA와 핵 협상 중단도 암시했습니다.
4. 실제 전황 격차 존재
- CBS, 가디언, 중앙일보 등 보도에 따르면, 이란은 민간인 피해가 600명 이상, 이스라엘은 29명 사망 등 피해 규모에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 이스라엘은 "공군·미사일 전력·정보 역량 수행에 성공했다"며 모사드 작전 지속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5. 평가 및 국제 여파
- 양측 모두 “승리했다” 선언하지만, 실제 성과는 상이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 국제사회는 이란의 선전적 '승리 프레임'에 대해 정황적 과장으로 해석하며, “핵시설 기능 지연은 있으나 완전 파괴 아냐”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선언이 국내 여론 결집과 군사적 사기 진작 목적으로 이뤄졌다고 진단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하메네이 메시지 | “미국·이스라엘에 승리했다”, “미국 얼굴을 강타했다” |
선전 전략 | 레고 애니메이션 등 시각적 선전 강화 |
내부 통제 | 형법 강화, 보복·핵 협상 중단 예고 |
실제 피해 규모 | 이란 민간인 다수 사망, 이스라엘 상대적 경미 피해 |
국제 평가 | 선전 목적이라는 분석 많음 + 실질적 제재 가능성 존재 |
📌 향후 관전 포인트
- 핵 협상 및 IAEA 검증 재개 여부
- 이란 내부 결속용 선전 전략 지속 여부
- 이스라엘·미국의 후속 대응 및 정보작전 방향
- 중동 내 파장: 레바논·시리아 등 주변 사태 영향 여부
"이란, 이스라엘·미국에 맞서 승리"…하메네이, 휴전 후 첫 등장 - 머니투데이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이스라엘과 미국에 맞서 자국이 승리했다고 주장했다. 지난 24일 이스라엘과의 휴전이 발효된 뒤 처음 나온 그의 공개 발언이다. 26일(현지시간) 로이
news.mt.co.kr
“우리가 이겼다”…이란, 레고 애니로 '이스라엘전 승리' 선전
이란 국영매체가 레고 스타일의 애니메이션을 공개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영상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가 악마의 지시에 따라 이란을 공격하는 장면으로 시작합니
www.etnews.com
위태로운 평화 속…이스라엘·이란 서로 “승리”
이스라엘과 이란 간 휴전 이틀째인 25일(현지시간) 양국에선 위태로운 평화가 유지됐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을 공식 종전일로 정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간밤 두 나라의
www.khan.co.kr
'경제, 시사, 상식, IT > 국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2 폭격기 조종사들의 일상 - 37시간의 작전 비행 (4) | 2025.06.28 |
---|---|
🏦 "파월 끔찍하다" 비난한 트럼프, 후임 후보 염두 중…연준에 개입 가능성은? (3) | 2025.06.27 |
🕊 12일전쟁 끝의 평화? 이란·이스라엘의 살얼음판 휴전 합의 (6) | 2025.06.24 |
🔓 애플·구글·메타 160억건의 유출…당신의 개인정보는 안전한가? (3) | 2025.06.24 |
🌊 이란, 호르무즈 해협 봉쇄 의결…‘글로벌 에너지 위기’ 경고 (4) | 2025.06.23 |